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엔비디아

매일 경제신문 (2024.6.18 - 서학개미, 엔비디아 사고 테슬라. 애플 팔고) 서학개미, 엔비디아 사고 테슬라. 애플 팔고최근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서학 개미들의 매수세가 엔비디아를 비롯한 인공지능(AI) 반도체 종목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애플, 테슬라 등 과거 해외 투자 열풍을 주도하던 종목에는 매도세가 이어졌습니다.  이 같은 AI 열풍에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은 엔비디아 외에도 브로드컴, TSMC, 퀄컴 등 반도체 업체를 주로 매수했습니다. 반대로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매도한 종목 순위에는 애플, 테슬라 등 정보기술(IT) 기업이 올랐습니다.  순매도액이 가장 큰 종목은 애플이고, 한때 애플과 함께 서학개미 열풍을 불러왔던 테슬라 역시 매도 순위 4위에 올랐습니다. 테슬라는 최근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에게 3억 300만주의 주식 매수청구권(스.. 더보기
매일 경제신문 (2024.2.18 - 세계 시총 10위 넘보드 TSMC 대만 증시 '사상 최고' 이끌어) 세계 시총 10위 넘보는 TSMC 대만 증시 '사상 최고' 이끌어 글로벌 증시 지형이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반도체 강국' 대만의 증시가 강세입니다. AI대장주 미국 엔비디아가 아마존과 알파벳을 차례로 제치고 뉴욕 증시 시가총액 3위에 진입하자,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대만 TSMC에도 매수세가 집중된 결과입니다. 대만 상장기업들의 PBR 평균은 2.1배로, 당국이 일본식 저PBR 개선에 나서는 경우 외국인 투자자금이 더 흘러들 수 있고, 이를 통해 중국발 지정학 리스크를 일부 상쇄하는 효과가 나올 것이라는 기대가 따릅니다. 💡 PBR (주가순자산비율)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시장가치비율로,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1주당 몇 배 거래되고 있는지 측정합니다. 주식 PBR이 1이라면 장부상 .. 더보기
매일 경제신문 (2023.1.11 - 엔비디아 담은 ETF 새해에도 고공행진) 엔비디아 담은 ETF 새해에도 고공행진 엔비디아가 사상 최고 주가 기록을 달성한 지 하루 만에 또다시 이를 경신했습니다. 주가 랠리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엔비디아 비중이 큰 국내외 상장지수펀드(ETF)도 마찬가지로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6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등과 함께 시가총액 1조달러 클럽에 가입한 이후에도 엔비디아 주가는 30% 더 올랐습니다. 💡 시가총액 기업의 발행 주식 수에 주가를 곱한 값으로, 기업의 시장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시장에서 기업의 주식을 얼마나 가치있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시가총액 = 발행주식수 x 주가) ex. 기업 A의 발행주식 수가 100주이고 주가가 10,000원일 경우 시가총액은? .. 더보기
매일 경제신문 (2023.10.19 - 차이나 리스크에 떠는 '美빅테크 개미') 차이나 리스크에 떠는 '美빅테크 개미' 인공지능(AI) 반도체 전기차 스마트폰 등 첨단산업을 둘러싼 미.중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엔비디아, 애플, 테슬라 등 미 대표 빅테크 기업 실적이 하방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중국 매출 비중은 약 21%로 크진 않지만, 고수익 사업인 AI 반도체 부문에서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데 미국 상무부가 첨단 반도체에 대해 강화된 중국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하면서 매도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세계 전기차 1위' 기업 테슬라도 차이나 리스크가 짙어지는 모양새입니다. 중국 화웨이에서 출시한 전기차 브랜드 '아이토'에 신차 주문이 쇄도하면서 보상금까지 지급하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애플 역시 신형아이폰 15의 중국 판매는 14때보다 많이 줄어들어 부진한 판매실적을.. 더보기
매일 경제신문 (2023.08.16 - 엔비디아, AMC, 마이크론 반도체주 일제히 반등) 엔비디아, AMC, 마이크론 반도체 주 일제히 반등 엔비디아를 최선호 종목으로 꼽은 모건스탠리 보고서 영향에 미국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첨단 기술 투자를 제한하기로 결정했는데, 엔비디아의 매출 중 약 20%가 중국에서 나오는 만큼 악영향을 받을 것이란 전망으로 지난 11일까지 주가 조정으로 이어졌습니다. 이에 대해 모건스탠리가 엔비디아를 최선호 종목으로 꼽으며 오히려 이번 조정이 '저점 매수' 기회라는 의견을 제시했고 엔비디아는 다시 반등했습니다. 월가에서는 엔비디아의 이번 2분기 주당순이익(EPS)이 2.07달러(전년 동기대비 4배가 넘는 수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주당순이익(EPS. Earning Per Share) 기업이 .. 더보기
매일 경제신문 (2023.05.25 - 엔비디아 CEO "반도체법, 美기업 두손 묶어 中 도와주는 꼴") 엔비디아 CEO "반도체법, 美기업 두손 묶어 中 도와주는 꼴"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경쟁에서 가장 치열한 격전지는 반도체입니다.그러나 최대 반도체 시장 중 하나인 중국을 배제하는 것을 두고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황 최고경영자는 중국에 대한 미국의 규제 강화가 결국 미국 기술 기업들의 손발을 묶는 족쇄가 될 것이라고 정면 비판했습니다. 미국에서 반도체를 구입할 수 없게 된 중국 기업들은 이미 자체적으로 게임과 그래픽, 인공지능등에 활용할 수 있는 반도체 제작에 돌입하였고, 중국 시장을 대체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강조하며 미국 반도체 산업을 부흥시킨다는 반도체산업육성법(CHIPS Act, 반도체법)이 망신거리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반도체법 반도체 칩과 과학법 .. 더보기
매일 경제신문 (2023.04.21 - 엔비디아.캐터필러.마이크론 "강달러 둔화에 실적개선 기대") 엔비디아, 캐터필러, 마이크론 달러가치가 전고점을 형성했던 지난해 9월 대비 10%가까이 하락하면서 ‘약달러’ 수혜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주로 미국 내수가 아닌 수출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기업들이었습니다. (건설장비, 가스엔진 등을 제조하는 캐터필러. 그래픽카드 디자인 기업 엔비디아. 메모리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등) 캐터필러는 건설장비 제조 분야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업체로 주요국 6개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가 113을 기록했던 대비 주가가 26% 상승했습니다. 시장에선 달러가치가 약세를 보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어 그만큼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에 관심을 가져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 달러인덱스 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 더보기

728x90
반응형
LIST